티스토리 뷰

반응형

다이어트를 하다 보면 한 번씩 요요나 폭식증을 경험하기도 하는데요 저도 다이어트를 하던 도중 요요와 폭식증으로 힘든 시간을 보낸 적도 있었습니다. 통제가 되지 않는 폭식증은 다시 경험하고 싶지 않은 기억입니다.                                           먹어도 먹어도 채워지지 않는 듯한 허함이라고 해야 할까요? 음식으로라도 채워주길 바라는 마음에서인지 계속 입안으로 무언가를 채워 넣는 기분이랄까요?  머리로는 그만 먹어야 한다고 인지하고 있지만 이성이 통제가 되지 않으면서 계속 먹게 되고 더 이상 먹을 수 없는 상태가 되면 그때서 후회를 하게 되고 이런 상황들이 반복이 되면서 체중은 증가하고 또 그런 나의 모습을 보면서 힘들어지고 이런 악순환이 폭식으로 인해 반복되는 듯 합니다.                                                                폭식증은 많은 양의 음식을 단시간 내 먹고, 본인이 먹을 수 있는 양보다 훨씬 더 과도하게 먹는 등 음식 섭취에 통제력을 잃는 증상입니다.  

 

▣ 그렇다면 폭식증을 부르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다양한 유발 원인이 존재합니다. 체중을 줄여야 한다는 강박감이 심한 현대에서 발생률이 증가한 질환으로 특히 청소년기에는 적절하게 본인의 욕구를 잘 표출하지 못해 나타나는 경향도 있습니다. 제때 식사 할 수 없는 물리적 상황이나 과도한 다이어트가 유발한 실제 배고픔으로 인한 폭식, 비틀어진 감정이나 심리적 불만족으로 인한 폭식,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스트레스성 폭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먹고 싶다는 욕망과 먹지 않아야 한다는 의지의 충돌로 인해 더욱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 폭식증 치료방법

폭식은 마음의 허기나 스트레스에서 유발이 되는 경우들이 많기 때문에 음식으로 마음의 허기를 채울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욕은 본능이기 때문에 억지로 참기는 힘들며 이를 억제하고 통제하다가 폭발하는 경우들이 많아서 폭식증을 치료하고 싶다면 음식에 대한 조절이 어려운 자신의 상태를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외로움,분노, 공허 등 마음 상태를 직관하여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폭식하는 사람이 날씬한 자신의 몸을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고 싶다는 욕구가 내재된 경우들이 많으므로 자신의 현재 몸도 충분히 가치 있고 아름다우며 훌륭하다는 마음가짐과 자존감을 높이는 생각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런 생각들이 한순간 쉽게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폭식증이 자신의 의지로 조절이 되지 않은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입니다. 인지행동 치료나 정신분석적 치료를 할 수 있고 폭식증이 심할 경우 약물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혼자 있을 때 폭식을 하게 되는 경우들이 많으므로 가족이나 친구 지인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거나 산책을 하고적당한 운동을 하거나 음식을 볼 수 있는 환경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할 때는 혼자가 아닌 가족이나 지인들과 함께 대화를 하며 천천히 식사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폭식증 완화를 위한 다른 방법은  삼시세끼를 모두 먹고 적당한 식사 시간을 유지하며 적당량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배고픔을 참다 먹게 되면 자제력을 잃어서 폭식을 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게 되므로 끼니때가 되면 적당량의 식사를 하면서 균형 잡힌 식습관을 만들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식사 후 입이 심심하거나 약간의 허기가 있을 때 간식을 먹게 되는 경우라면 견과류나, 토마토 등과 같은 식이섬유나 단백질을 섭취하여 불필요한 식욕을 억제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